1. 산술연산자
(1) 사칙연산자 +, -, *, / -> 더하기, 빼기, 곱하기, 나누기
(2) 제곱을 나타내는 **,
3) 나머지를 산출하는 % (Modulus)
(4) 나누기에 소숫점 이하를 버리는 //
2. 비교연산자
비교연산자는 관계연산자로도 불리우는데, 여기에는 등호(==), 같지 않음(!=), 부등호(<, >, <=, >=) 등이 있다.
3. 할당연산자
할당연산자는 변수에 값을 할당하기 위하여 사용되는데, 기본적으로 = (Equal Sign)을 사용한다. 산술연산자와 함께 사용되어 할당을 보다 간결히 하기 위해 사용되는 +=, -=, *=, /=, %=, //= 등과 같은 연산자도 할당연산자에 해당된다.
4. 관계 연산자
연산자 양쪽의 데이터 관계를 따져서 참과 거짓을 구한다.
연산 결과는 참(True)과 거짓(False)으로 나온다.
5. 논리연산자
수학의 boolean 대수 연산을 명령어로 만든 것
=> 집합의 교집합, 합집합, 여집합을 기호로 만든 것
=> 논리연산자의 양쪽에는 boolean 값이 와야 함
and는 양쪽의 값이 모두 참인 경우만 참이 된다.
or는 어느 한쪽만 참이면 참이된다.
not은 참이면 거짓으로 나오고, 거짓이면 참이 된다.
<진리표>
x y x and y x or y not x
True True True True False
True False False True False
False True False True True
False False False False True